본문 바로가기

문화감상록/영화

폭력의 차별을 현대화하다, <로보캅>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영공을 날아다니며 목표물을 공격해대는 UAV에 대한 뉴스는 이제 매우 익숙하다. 강대국들은 언론에서 말한대로, 그런 살상무기들이 날아다니며 활개치는 것을 나름 국가보안에 합당한 이유를 붙여 정당화한다. 그러나 그 이면 폭력의 지역 차별적인 실현, 즉 본국에선 상상도 못할 짓을 지구 어디에선가 저지르는게 가능한 그 이유는 바로 그곳이 "유권자의 밭"이 아닌 전혀 다른 곳이기 때문이 분명하다. 아무도 LA 상공에서 헬파이어와 기총으로 무장하며 범죄자를 감시한다는 UAV를 원하진 않을 것이다. 언제 어디서 죽을지 모른다는, 그 분명한 폭력의 존재감이 사람들을 공포에 질리게 만들기 때문이다.


영화<로보캅>은 이런 미국의 이면적인 현실을 투영한다. 다른 나라 전쟁지역에는 전투병 역할을 하는 로봇을 대규모로 파병한다. 기술적 결함이던, 의도적이건 어린 아이까지 죽이는 사건이 벌어져도 언론에 의해 흔히있는 사건으로 치부될 뿐이다. 다만 로봇의 생산 수요를 늘리고자 국내 경찰력까지 로봇으로 교체하려는 시장의 시도가 이어진다. 


외국에서 잘 만 싸우던 로봇들에 대해 똑같이 본토 안에서 활용하겠다고 하자, 갑자기 "인간성"의 함몰을 근거로 한 로봇에 대한 막연한 공포감 여론이 조성된다 ("Robophobia"). 알게 모르게 존재했던 효과적인 폭력의 수단이 자신의 곁에 존재한다는 소식은, 자신의 안전을 지킨다는 믿음보다 자신의 안전을 해칠거라는 위협으로 더 현실감있게 그려진다. 이런 공포 여론을 개선시킬 획기적 수단이 기존 폭력수단보다 더 인간답게 보이고, 또 그렇게 행동하는 <로보캅>이다. 영화는 인간의 탈을 쓴 폭력을 가공하도록 만드는 주체는 과연 정당한가에 대한 질문이다. 


더 나은 종류의 수단을 쓰는 폭력 또한 폭력이다. 한쪽에선 폭탄부터 날리는 수단을 쓰더라도, 자기 쪽에선 전 국민을 감청, 감시하는 종류의 더 나은 수단을 쓴다. 아무리 세련되보이더라도 그건 더 나은 종류의 폭력임이 분명하다. 이런 감시에서 오는 불편함과 불쾌함을 토로하면 흔한 국가 폭력 정당성의 키워드가 되풀이 된다. 이 것이 안보이며, 안보는 바로 애국이다. 더 나은 차별에 감사해야 하며 국가가 날 끔찍하게 죽이지 않았음에 감사해야 한다. <로보캅>에겐 인간의 감성이 있다지만 그게 <로보캅>이 더 나은 종류의 병기임을 부정하는 단계에 이르자, 바로 그 끔찍한 안보 중심의 체제는 스스로 창조한 병기를 폐기하고자 한다. 결국 폭력의 차별성은 기실 거짓인 것이고, 그걸 부정하고자 자신들의 중요한 자산조차도 잠식시키는 자기모순인 것이다.


결국 로보캅은 이 시대에 존재하는 차별적인 폭력을 좀 더 현대화한 SF로 만든 영화인 것이다. 이 현상은 앞으로도 좀 더 심화되어 영화처럼 극적인 기술 형태로는 아니더라도 계속적으로 전 세계에 진행될 것이다. 다만 내가 좀 더 나은 수단의 폭력을 경험한다는 것이 안도의 한숨이 되어야하는 것이지, 더 악질적인 것을 경험해야 하는 자들에 대한 동질감인지는 시대의 선택일 것이다.




로보캅 (2014)

RoboCop 
7.5
감독
조세 파디야
출연
조엘 키나만, 게리 올드만, 사무엘 L. 잭슨, 애비 코니쉬, 마이클 키튼
정보
액션 | 미국 | 117 분 | 2014-02-13
글쓴이 평점